데이터 통신의 개요
1) 통신의 공통점
한 점으로부터 다른 통신 개체로 어떤 정보 또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.
2) 통신의 3대 요소
- 정보원, 전송매체, 수신체 +(4대요소:메세지)
3)통신 성능의 요인
- 메세지가 서로 이해되어야 한다.
coding: encoding, decoding
1. 변조(Modulation)
메시지를 통신 매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가장 작은 단위의 정보인 비트를 통신 매체에 맞는 신호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. 이때 필요한 과정, 즉 전송 신호를 높은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 신호에 싣는 과정을 변조라고 한다.
- 전송 신호(baseband signal)를 높은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 신호(carrier signal)에 싣는 과정
- 정현파를 만들어내고 그 위에 실어서 보낸다.
1-1. 변조의 종류
- 아날로그 변조
- 디지털 변조
1-2. 아날로그 변조 방식
- 진폭 변조 (AM - Amplitude Modulation)
베이스밴드 신호의 순간 진폭에 비례하여 반송파 신호의 순간 진폭을 변화시키는 방법
- 주파수 변조 (FM - Frequency Modulation)
반송파의 진폭은 일정하게 한 채로 베이스밴드의 신호를 주파수 변화로 변화시키는 방법
- 위상 변조 (PM - Phase Modulation)
반송파 신호의 진폭은 일정하게 한 채로 베이스밴드 신호를 주파수 위상각의 변화로 변환시키는 방법.
1-2. 디지털 변조 방식
- 진폭 편이 변조 (ASK - Amplitude-shift keying)
진폭의 위치에 따라 0과 1을 구분하는 것
- 주파수 편이 변조 (FSK - Frequency-shift keying)
주파수 소밀의 차이를 통해 0과 1을 구분하는 것
- 위상 편이 변조 (PSK - Phase-shift keying)
방향의 변화에 따라 0과 1을 구분하는 것
* 펄스
-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되는 네모꼴의 전자기 파형
- 펄스의 3대 요소
진폭, 위치, 폭
2. 복조(Demodulation)
통신에서는 기본파로서의 고주파에 화상이나 음성 등의 신호에 따라 변화시킨 변조파를 실어서 송신하며, 수신기에서는 고주파 전류로부터 변조파를 꺼내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는 조작을 하게 되는데 이를 복조라 한다.
1-1. 복조의 종류
- 아날로그 변조
- 디지털 변조
1-2. 복조 방식
3. 전송 코드
통신 회선을 경유하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. 즉, 사람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을 숫자나 문자로 표현하는데, 데이터 통신을 통해 개념을 송수신하고자 할 때 필요한 문자에 대응하는 코드를 의미한다.
'Server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컴퓨터 통신망 구조 (0) | 2022.02.14 |
---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