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상화
소프트웨어적으로 서버, 앱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논리적으로 통합하고 분할하여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하는 서버처럼 만들어주는 기술 리소스의 이용률과 가용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.
🎷 물리적 IT 자원을 가상의 IT 자원으로 전환
🎷 비용 절감
🎷 유지보수 간편
💡 가상화 기술의 개념
CPU, GPU, 메모리, 스토리지 등의 물리적 자원과 운영체제, 런타임 등 논리적 리소스를 가상화
📍 Virtual Machine(가상머신)
◾ 가상화 기술을 통해 논리적으로 나뉜 각각의 머신
◾ 하드웨어 자원을 운영체제가 아닌 VM에서 제어
◾ 한 하드웨어 상에 각각 다른 종류의 운영체제 실행 가능
💡 가상화 계층의 역할
> 파티셔닝
: 하나의 물리적 머신을 논리적으로 분할/분배하는 기술
> 캡슐화
: 하드웨어를 제어할 필요 없이 가상화가 하드웨어 격벽을 알아서 해주는 것
> 격리
: 한 쪽의 가상환경에서 일어나는 일(장애, 보안 등)이 다른 가상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
> H/W 독립화
: 여러개의 가상 머신을 독립적으로 가동
서버 가상화
컴퓨터 시스템에서 내부적으로 가상의 기능과 구성요소를 만들어 내기 위해 이용
💡 가상화의 분류
🖇 호스트 가상화 방식
: H/W에 설치된 호스트 OS 위에 가상화 S/W가 설치
◾ 호스트 OS : 직접적인 하드웨어 관리
◾ 게스트 OS : 가상 머신에게 소프트웨어 실행환경 제공
◾ VM의 고립성과 성능이 높음
📍 호스트 가상화의 장점
게스트 OS가 하드웨어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하고 동기화하기 때문에 호스트 OS에 제약이 없음
📍 호스트 가상화의 단점
호스트 OS와 게스트 OS의 공존으로 필요 이상의 CPU, 디스크, 메모리 사용의 오버헤드 발생
🖇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방식
: 호스트OS 없이 작동되어 특정 OS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OS를 내포하고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되는 구조
- 오버헤드 비용이 적음
- 하드웨어를 직접 관리하여 리소스 관리가 유연함
◾ 전가상화(Full-Virtualization)
: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하는 방식으로 관리용 가상 머신 DOMO를 통해 게스트 OS들의 커널 요청을 번역하여 하드웨어로 전달. 변목현상으로 인한 성능 저하 발생
◾ 반가상화(Para-Virtualization)
: 게스트 OS가 하이퍼콜을 요청할 수 있도록 커널이 수정된 형태. 리툭스와 같은 오픈소스 OS 이외에는 반가상화가 어려움
🖇 컨테이너 방식
: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 및 종속 리소스를 함께 패키지로 묶어 구동을 위해 생성한 호스트 OS상의 논리적 구역. 실행환경뿐만 아니라 세부설정까지 모두 이미지 내에 갖추고 있어 구동에 편리하다
◾ Docker
네트워크 가상화
'Server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성화를 위한 클라우드 보안과 정책 요약 (0) | 2022.03.08 |
---|---|
애져 가상 머신 만들기 (0) | 2021.09.26 |
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과 서비스 (0) | 2021.09.25 |
클라우드 컴퓨팅의 장단점 (0) | 2021.09.25 |
Azure (0) | 2021.09.0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