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시장교환이 일어나는 이유
: 교환이 자발적으로 행해지는 이유는 상호간의 이득을 제공하기 때문이다.
- 교환의 주체
- 수요자 및 공급자 ->
- 나라와 나라 -> 무역
- 교환이 일어나며 매개체인 화폐가 필요해진다
2. 국제무역과 국내교역과의 차이
- 기축통화(key currency)
- 국제시장에서 널리 통용되는 화폐
- 환율 : 통화 간 교환 비율
-> 달러, 엔, 유로 등 거시적 경제의 개념이며 환율을 비교하여 환전
- 무역 격차의 해소 문제
- 한 나라 안에서의 지역별 격차는 쉽게 조정 가능
- 국제 무역에서의 격차(무역수지)는 조정 어려움
기울기는 기회비용을 의미하며
기울기의 의미는 바나나 생산의 증가분 분의 물고기 생산의 감소분을 의미한다.
3. 2인 경제 체제
- 스칼렛과 플로렌스가 바나나와 물고기를 생산한다고 가정
이 때, 스칼렛이 플로렌스에 비해 바나나 생산량이 2배라 가정하면
- 스칼렛의 기회비용
- 바나나 = 2 물고기
- 물고기 = 1/2 바나나 - 플로렌스의 기회비용
- 바나나 = 1/2 물고기
- 물고기 = 2 바나나
바나나가 그려져 있는 x축에서 16으로 이동한 것을 보면 스칼렛의 기회비용을 알 수 있다.
물고기의 기회비용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물고기를 분모에 놓고 바나나를 분자에 넣으면 된다.
바나나의 기회비용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바나나를 분모에 놓고 물고기를 분자에 넣으면 된다.
4. 비교우위
- 한 개인 기업 국가가 어떤 상품을 다른 생산자들에 비해 더 낮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
- 앞선 예시에서 바나나와 물고기 생산에 있어 각각 어느 것에 비교우위가 있는가?
-> 이를 위해서는 기회비용을 비교해야 한다.
- 바나나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는 사람은 플로렌스이다.
- 물고기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는 사람은 스칼렛이다.
4-1. 완전 전문화
- 한 개인이나 기업, 국가가 자신이 비교우위에 있는 것만을 생산하고 교역하는 것
- 즉, 앞선 예시에서 스칼렛은 물고기만을 생산, 플로렌스는 바나나만을 생산한다.
- 이경우,각각 16개씩 생산 가능
완전 전문화를 통해 생산된 것을 교환한다. - 그 결과, 둘 다 이득을 보게 된다.
* 1인경제체제에서는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한 C 점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
5. 기회비용, 비교우위, 절대우위
- 절대우위
다른 생산자에 비해 같은 상품을 더 적은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생산할 수 있는 능력
- 필리핀 농가가 망고와 감귤 모두 절대우위를 점하고 있다.
- 제주도농가의경우,감귤과망고생산에 노동시간을 절반씩 투입할 경우 a점에 해당되는 만큼을 얻음.
- 필리핀농가의경우,감귤과망고생산에 노동시간을 절반씩 투입할 경우 b점에 해당되는 만큼을 얻음.
두 농가의 기회비용 계산
- 제주도농가
-망고기회비용=4감귤
-감귤기회비용=1/4망고 - 필리핀농가
-망고기회비용=2감귤
-감귤기회비용=1/2망고
5-1. 비교우위
- 다른 생산자에 비해 같은 상품을 더 적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
- 그러므로 제주도 농가는 감귤 생산에 비교우위, 필리핀 농가는 망고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음.
- 무역은 절대우위가 아닌 비교우위에 의해 이루어짐.
- 이 때, 비교우위는 기회비용에 따라 결정된다.
비교우위에 의한 무역 결과
- 필리핀이 100kg 망고를 제주도에 보내고, 300kg의 감귤을 받는다면?
- 제주도는 감귤을 400kg 생산하는 대신 망고 생산을 100kg 줄임.
- 따라서 제주도는
감귤 100kg가 남고 필리핀은 줄인 감귤 200kg 대신 망고 100kg를
더 생산하였음.
이에 감귤 100kg을 얻음. - 따라서 양국 모두 이득
5-2. 한 나라의 비교우위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?
- 기후
- 계절적 요인
- 천연자원의 부존량 혹은 인조자원의 부존량
- 노동(인적 자본)과 물적 자본의 정도, 기술 수준
- 비교우위 결정요인은 다양성과 가변성으로 인해 변할 수 있음.
반응형
'Econom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장교환의 한계 (0) | 2021.09.13 |
---|---|
비교정태분석 (0) | 2021.09.06 |
수요와 공급의 변화 (0) | 2021.09.06 |
시장의 균형 (0) | 2021.09.06 |
댓글